사이트이름 | |
---|---|
사이트주소 | |
추천인코드 |
1% 넘지 못하게 한 최저임금위원회공익위원들의 결정을 규탄했습니다.
양대 노총은공익위원들이 최저임금 심의촉진구간으로 제시한 최저 1.
1% 인상은 최근 물가 상승률에도 미치지 못하는.
제도의 발전을 위한 연구 및 건의4.
그밖에 최저임금에 관한 중요 사항으로서 고용노동부장관이 회의에 부치는 사항의 심의 즉,공익위원권고안은 법에 명시된 최임위가 가진 기능을 스스로 걷어찬 것에 불과하다.
그러면서 기능과 권한이 없는 경사노위를 언급한다.
지난 회의에서공익위원들이 제안한 심의촉진구간을 철회하라는 노동계의 반발이 있었으나,공익위원들은 수정이나 철회는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임금 수준이 10일 결정될 전망이다.
최저임금위원회(최임위)는 이날 오후 3시부터 정부세종청사에서 12차 전원회의를 개최했다.
공익위원간사인 권순원 숙명여대 교수는 이날 회의 모두발언에서 “오늘은 내년 최저임금 수준 심의 마지막 날”이라고 했다.
회의에서 퇴장한 뒤 성명을 내고 "노동자의 삶을 외면한공익위원전원의 즉각 사퇴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이날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최임위 제12차 전원회의에서 내년도 최저임금 심의를 거부하며 퇴장한 뒤 이같은 성명을 냈다.
그 효용이 사회적으로 체험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거듭 당부했다.
이번 심의는 앞서 지난 8일 10차 전원회의에서공익위원들이 제시한 1.
1% 인상률의 '심의 촉진 구간(협상범위)'을 바탕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 구간은 역대 정부 첫 해 최저임금 인상률 중.
0% 오른 시급 1만 430원을, 경영계는 2.
0% 인상한 1만 230원을 각각 제시했습니다.
앞선 회의에서공익위원들은 노사 간 격차가 좁혀지지 않자 하한 1만 210원, 상한 1만 440원의 심의촉진구간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